5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여의도 국회도서관서 개최
지방시대·한국지방자치학회, AI 기반 지방행정 논의

최양식 지방시대 이사장이 5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AI 지방정부 구상과 실현을 위한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강현욱>
최양식 지방시대 이사장이 5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AI 지방정부 구상과 실현을 위한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강현욱>

[인사이트코리아 = 김재훈 기자] 지방시대·한국지방자치학회가 공동개최하는 ‘AI 지방정부 구상과 실현을 위한 세미나’가 5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진행된다. AI기반 지방행정 시스템 구축과 AI 지방정부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이날 세미나는 ‘AI 지방분권형 국가로의 전환’ ‘사람 중심의 AI, 지방을 바꾼다’를 주제로 열린다

첫 번째 주제 ‘AI 지방분권형 국가로의 전환’ 발제는 박기관 상지대 부총장이 맡는다. 박 부총장은 ‘지방분권형 국가를 위한 새로운 방향과 과제의 답은 AI’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는 인구구조가 변하고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가팔라지면서 발생한 문제들을 지적할 방침이다. 이어 AI가 가진 해법과 이를 응용한 지방 자치 단체들의 사례를 분석할 계획이다. 

박 부총장 발표 이후 최양식 지방시대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한다. 김용운 건국대 교수·배일권 행정안전부 공공지능데이터국장·육동한 춘천시장·정민기 세종특별시 AI 정책특보가 참석한다. 

두 번째 주제인 ‘사람 중심의 AI, 지방을 바꾼다’는 서일홍 코가로보틱스 의장과 김예성 DGIST 교수가 함께 발제한다. 서일홍 의장은 AI의 작동원리를 통해 AI가 인간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설명할 예정이다. 김예성 교수는 ‘AI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술들’과 ‘주민을 위한 AI 서비스 예시’를 통해 AI가 창출할 효과를 짚어볼 계획이다.

발제 이후 세부 토론은 이홍 광운대 명예교수가 진행한다. 박종혁 한경대 교수·이향수 건국대 교수·이완섭 서산시장·신계용 과천시장·김민철 스위트케이 대표가 참석해 토론을 이어간다.